본문 바로가기

한국음식30

한국음식 현지화 가장 보수적이고 전통이 중요한 식문화 인 한국 요리가 더디게 발전하게 된 것은 20세기 초 일재 강점기 때부터이며 연속적으로 6.25 전쟁의 일어나면 상당 부분 소실되면서 가져와야 할 것이 없어지면 발전이 더 티였을 뿐 아니라 해외로 이주한 한인들은 이민의 역사도 짧을뿐더러 한인들의 숫자도 절대적으로 부족해 지면서 한인들이 그리워하는 고향의 맛을 찾기는 많이 어려웠습니다. 예전보다 한국의 국력 발전이나 이민 역사도 누적되어 한류의 이미지도 새로운 도리로 퍼져나가고 이전보다 어렵지 않고 수월해져 이민자들이 전파한 요리들의 다양한 콘셉트와 레시피들이 자리를 구미지역에서 자리를 잡아가면서 현지화돤 방법으로 소비자를 공략해 나가면서 언제든지 한국 음식을 세계화할 여지는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실지로 2.. 2022. 12. 9.
한국음식 방향 이탈리아 요리로 보는 한국음식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 문화가 선도적으로 제1세계에 중심 위치를 선점하게 되었으며 그때부터 이탈리아 요리가 현지화되면서 대중화되면서 미국이 점점 세계로 뻗어 나가면서 같이 퍼져 나갈 수 있어서 한국의 불고기 피자 처럼 이런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감으로써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 이주민들이 미국에 왔을때 이탈리아 이탈리아 특산재료 파르미 자아노 레지아노나 관찬 레는 미국에서는 구하기가 어렵고 비싼 재료들이며 이런 재료들을 빼고 흔히 먹을 수 있으면서도 맛있는 베이컨에 크림소스로 만든 크림 파스타 그리고 빵을 넓은 접시로 쓰고 그 안에 모차렐라 피자 치즈를 수프처럼 듬뿍 넣어 만든 시카고 피자 가 그 대표적입니다. 이탈리아 음식 성공.. 2022. 12. 8.
한국음식이 나아가야 할 방향 2000년대 초반 한국음식 한옥과 관련한 한옥 문서에 보면 한국인들만이 가지고 있는 현실과 상관없이 어떠한 상황에도 절대 진리인 듯 믿고 따르고 변화하지 않는 교조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내용이 짧게 나마 언급이 되어 있는 것을 볼 때 한때 한식을 진출할 때 그때에는 큰 걸림돌이 되지 않나 하는 지적이 이었으며 구미권의 입지를 선점하려면 일단 바로 한국의요리 한식을 바로 적용해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타국이 음식을 접목해서 지금 현재 입맛에 맞춰서 바꾸어 나가는 과정을 거친다면 한식 이 대중화 되는 것은 시간문제 일 것이다. 하지만 2000년대에는 홍보가 잘 되어 있지 않아서 많은 한국인들이 만든 음식을 보면 저게 뭐냐 한식이냐 등 반을 볼 수 있으며 절대 진리인듯 따르.. 2022. 12. 7.
한식문화의 세계화로 가성비가 좋은 음식 접근성이 좋은 음식이 가장 빨리 음식의 세계화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다는 것은 간편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해야 하는데 중국음식은 미국에 있는 배달 음식에 가장 표준이며 길거리에서 간단 헤게 먹을 수 있는 샌드위치나 타코이며 흔하게 있는 프랜차이즈 패스푸드는 피자와 햄버거 그리고 커피 등이 아무 데나 먹을 수 있는 세계화 음식이 대표적입니다. 초밥은 고급 음식에서 길거리 한 끼를 먹을 수 있는 초밥까지 다양하게 선호하는 성향에 따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세계화로 나가려면 기본이 어디서든 언제나 쉽게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이어만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무시하고 고급화 음식 전략을 계속 고집을 한다면 접근성이 떨어질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결국 세계화를 맞추려면 한식.. 2022. 12. 6.
간편한 음식 패스트푸드와 차이 있는 한국음식 패스트푸드화처럼 간단하고 들고 다니기 편하고 먹기 간단한 미국의 피자와 햄버거나 일본의 초밥은 가능하지만 그러나 한국음식인 한식은 패스트푸드처럼 간편하게 먹는 문화가 아니기 때문에 간편화 되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간편화 되기는 어렵기는 해도 가능한 몇몇 일품 음식이 있지만 매우 적습니다. 한국은 밥과 같이 찌개와 고기등 메인 음식과 반찬을 같이 공동으로 먹는다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다른 유럽 국가와 아메리 카아 중동 등 국가에 없는 문화입니다. 남아시아 및 중동과 유럽 아메리카 식사 문화는 빵이 탄수화물인 빵이 주식이고 메인 요리 고기와 거기에 맞는 한 접시 가니쉬 몇 가지가 나오고 접시에 올라오는 3가지에서 5가지 정도 식재료가 보통 나오며 빵 외에 추가 메뉴 있을 때는.. 2022. 12. 5.
튀김요리 유제품 발달 튀김과 유제품 전근대 요리서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기름에 튀기는 튀김이 문서에 기록에 없으며 식재료들 튀기는 요리기구가 없는 것을 보면 중국과 일본과 비교해 보면 튀김은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그나마 튀김보다는 기름에 살짝 넣었다가 꺼내는 정도 튀각과 부각이 있으며 양반이나 부자들이 만들어 먹었던 약과와 유과는 기름에 튀겨 만드는 과자이지만 하지만 튀기는 것도 번거롭고 재료값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 비싸서 서민들이 즐겨 먹지 못하는 귀한 음식 중에 하나입니다. 세종이 즐겨 먹었다던 포계는 산가요록에 기록 되어 있는데 치킨을 말하기는 하지만 비슷할 요리로 닭 지짐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본격적으로 시작한 튀김이라고 보기에는 어렸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은 일찍부터 튀.. 2022.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