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음식30

한국 식재료 기본양념 간장의 종류 간장은 콩만을 주원료로 콩으로 메모 나게 만들어 잘 붙을 때까지 두었다가 만든 것이 메주인데 메주를 소금물에 오랫 동안 담가 두면 발효가 되면서 한국 고유 발효식품 으로 액상조미료가 되는데 콩만 들어가는 거라 구수한 맛이 진해서 한국 전통 발효식품으로써 한국음식을 만들때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조리료 중에 하나입니다. 간장 종류에는국간장과 양조간장, 진간장, 어간장 이렇게 나누어져 있는데 국간장은 조선 간장 으로써 시중에 판매되는 샘표나 몽고간장의 조선간장은 짠맛이 좀 강하면서도 간장의 묵직한 맛이 나는 조선 간장은 주로 국이나 나물반찬그리고 찌개에 사용이 되며 진간장은 조선간장보다는 단맛이 있으나 양조간장 보다는 단맛이 좀 덜하며 간장 색깔이 양조간장에 비해 진하며 국,조림, 육류등에 사용.. 2022. 12. 21.
한국식재료 과일과 견과류 배와 사과 한국음식에서 과일 중 가장 소비하는 과일이지만 사과와 배이며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에도 올리는 과일이며 서양배와 사과는 서양 과일과 달리 당도가 놓고 아삭하고 씹으면 매우 당도도 높고 시원한 식감이 특징이며 사과도 서양 사과보다 당도가 높으며 생으로 껍질 째 먹기도 하지만 서양 과일은 당도가 떨어져서 생으로 먹기보다는 파이로 익히거나 갈아서 먹었습니다. 1999년 엘리자베스 2세가 방한하여 안동지역의 사과를 맛보고 그때부터 매년 생신 때마다 안동 사과를 보내곤 할 정도 일화로 사과가 해외에서 좀더 유명해졌습니다. 사과는 비타민C가 많아서 감기 예방에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사과는 차가운 성질이 있어서 목감기와 기침에는 오히려 안 좋으며 배는 수분및 무기질이 많아서 수분을 보충에 충분한 과일 이기.. 2022. 12. 20.
한국음식의 채소 한국인의 밥 상중에 없어서는 안 될 야채는 밥상에 어떻게 등장하는지 섭 추시 도움 되는 야채는 무엇인지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호박 호박은 품종에 따라 그리고 시간에 지남으로써 생기는 숙성도에 따라 구분되는데 애호박과 늙은 호박으로 나누어집니다. 비타민C와 E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되며 늙은 호박은 부종 제거에도 많이 사용 되어 임산부들의 출산 후 몸조리할 때 자주 찾는 음식 중에 하나이며 호박잎도 깻잎처럼 쌈을 싸 먹기는 하지만 잎에 털이 많아 까끌함이 많아서 양배추처럼 찜으로 쪄서 먹으며 호박은 숙성기간이 길다 보니 영양소가 풍부해서 늙은 호박 같은 경우 가을철에 수확하면 가을을 지나 겨울에 수확한 호박을 겨울에 먹기에 좋아 호박죽으로 자주 애용 되며 그 외 음식은 호박전과.. 2022. 12. 19.
한국음식 식재료 곡물류 한국의 음식 식재료 여러 종류 중에 가장 빠질 수 없는 식재료는 가장 기본이고 한국인 상차림의 주식인 바로 곡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음식의 중심은 곡류를 토대로 주식으로 다른 의미로 밥은 양식이기도 하며 주식은 곧 밥입니다. 쌀과 보리 등 다양한 곡식을 넣어 밥을 만드는데 이것이 잡곡밥이며 현미와 쌀만 넣어 짓으면 현미밥, 보리와 쌀을 넣어 밥을 짓으면 보리밥이 됩니다. 옛날에는 사회적 지위의 부유층 계층은 잡곡밥보다는 흰쌀밥을 먹었으며 그 외 서민들은 콩이나 팥 그리고 조, 보리 등을 섞은 잡곡밥을 먹었으며 고추장을 담글 때도 들어가고 다양한 김치를 담글 때는 찹쌀풀을 사용해서 할 때는 좀 더 감칠맛이 더해집니다. 밥 안에 국을 넣어 나오면 국에 밥 들어갔다면 국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흰쌀 맵쌀.. 2022. 12. 18.
한국식재료-해조류와 어패류 한국음식에 들어가는 식재료 어패류, 곡류, 과실, 채소류, 육류 등 다양한 재료가 한데 어우러져 맛이 있는 음식들이 만들어 지는데 오늘은 어패류와 해조류 종류와 특징 그리고 어떤 음식이 있는지 조리법은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 볼까요 한국은 산과바다가 주변에 둘러싸여 있는 지형으로 어패류, 조개류, 해조류 등 여러 가지 식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어서 다양한 음식이 발전되어 중요한 단백질인 어패류는 한국 어장에서 명태, 가자미, 오징어, 주꾸미, 낙지, 대구, 갈치 등이 모두 어획할 수 있어서 다양한 음식들이 식탁에 올라올 수 있으며 최근에 기후변화로 수온이 달라지고 있어 조금씩 어패류 종류가 변화를 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어패류의 조리법은 여러 종류로 찜이나 전골,구이, 조림 등 가공한 반찬들이 식탁에 올라 .. 2022. 12. 17.
한국 음식 식재료- 고기 한국 음식 할 때 자주 사용되는 식재료가 있는데 채소류, 어패류, 육류, 과실류, 곡류 등 과 각종 양념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식재료의 특징과 조리상 할 때 특성을 요약해서 각 식재료 주제별로 올릴 예정이며 오늘의 식재료 육류에 대해 육류의 음식과 특징과 조리 등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인간이 수렵 생활을 하면서 부터 고기를 섭취하게 되었고 양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불을 이용할 줄 알면서 시작되었는데 불에 고기를 익히게 되면 3중 콜라겐 구조가 풀어지면 소화가 훨씬 편해집니다. 고기는 주로 물과 단백질 그리고 지방으로 되어 있으며 고기는 날것으로 먹을 수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다양한 조리법으로 가공을 하며 조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생고기를 먹을 경우 조리 하지 않으며 세균과 균의 분해와 감염으로 .. 2022.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