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밥상
한국인의 일상식은 밥을 주식으로 국과 여러 가지 반찬을 곁들여 먹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부식은 국, 찌개, 김치와 장류를 기본으로 나오고 그 외에 다양한 반찬 이용해서 만든 반찬을 밥과 같이 먹는 식사 형태로는 영양의 균형을 볼 때는 완벽한 식사라 할 수 있으며 , 반찬 종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으로 나누며 각 한상으로 차려진 것을 반상이라고 합니다. 반상차림의 몇 첩 반상차림은 여러 가지 면에서 식품의 배합이나 음식의 냉온이나 색상의 배합 등으로 합리적이고 조화로운 구성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장국밥, 비빔밥 등의 일품요리와 온 가족이 둘러앉아 함께 개인 접시를 먹는 수장국으로 차려진 면상 들은 하나의 별식 차림이라 고 볼 수 있습니다. 반상의 종류로는 3첩, 5첩, 7첩..
2022. 11. 30.
한국음식
한식의 정의 한식이 생겨나는 환경은 기후와 풍토로 인해서 밥, 죽, 만두, 술, 수제비, 국수 등의 다양한 곡물 음식이 발달해 갔고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장을 담가 발효 음식을 발전시켜서 된장, 고추장, 간장이 탄생되었고 재배 채소 이외에도 산야에 자라는 산나물, 들나물 등 채소의 종류의 수가 많아서 생채, 쌈. 나물, 김치로 만들어서 계절에 따라 식탁 음식이 달라지게 할 수 있으며,예로부터 내려오는 약과 음식은 처음부터 같은 약식동원의 식사관념이 있습니다. 한국식의 모든 전통식 요리는 한식으로 부르며 한국요리 또는 지방의 특징 있는 요리부터 궁중에 복잡한 요리까지 식재료와 조리방식이 많이 다양하며 현대적 감각으로 한식을 재해석한 퓨전 한식도 있습니다. 남한과 북한의 조리법이 달라 나누어지기도 하는데 한..
2022. 11. 13.